역접접속사인 but, however, yet…이 문장에서 잘못된 이해로 인하여 독해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접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고 앞뒤문장의 독해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접속사가 앞뒤문장이 서로 반대일 때만 사용한다고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 그것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수능영어독해지문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접접속사의 잘못된 인식
대부분의 경우 역접하면 무엇인가 반대의 의미를 표현하는 단어로 생각하게 됩니다. 비슷한 발음의 단어인 역도(역적의 무리), 역적(통치자에게 반대하는 무리), 역모(반역을 꾀함)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단어들은 공통적으로 기존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극단적으로 반대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역접의 접속사가 두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될 때 앞뒤의 문장이 항상 서로 상반된 의미를 같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제니는 아침에 일찍 일어났다. 하지만 준민은 아침에 늦게 일어났다."와 같은 문장의 흐름이 서로 반대의 문장을 연결한 경우입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역접접속사는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의미
역접접속사는 앞뒤 문장을 연결합니다. 앞문장과 뒷문장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합니다. "사과는 맛있다. 하지만 사과는 비싸다." 이 두 문장은 역접접속사인 하지만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두 문장은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만일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미로 두 문장을 바꾸면 이렇게 됩니다. "사과는 맛있다. 하지만 사과는 맛없다." 서로 다른 반대의 뜻을 가지고 있는 문장을 연결해야만 한다면 방금 전 언급한 문장은 자연스러운 흐름의 문장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읽어보면 두 문장의 흐름이 어색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역접접속사는 연결된 두문장이 서로 의미가 동일하지 않아야 합니다. 즉 서로 달라야 합니다.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다는 것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꼭 서로 달라야만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르지 않다 하더라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어려운 수능영어독해 문제에서 역접 접속사가 활용되는 경우입니다. 독해문제에서 앞 문장을 찾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역접 접속사와 연결된 뒷문장과의 반대의 의미로만은 앞 문장을 찾기는 힘듭니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반대의 의미만으로 앞뒤 문장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출제자가 의도한 것입니다. 수능영어 출제자는 학생의 영어문장을 한글문장으로 해석하는 능력만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독해력 즉 글을 읽고 전달하려는 뜻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 능력가운데 에는 역접 접속사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됩니다.
수영능영어 지문에서 활용하기 위한 key point
그럼 어떻게 수능영어독해문제에서 역접접속사를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것 역시 출제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앞서 다른 글에서 언급했듯이 모든 수능문제의 답은 1개 이어야 합니다. 역접 접속사가 연결한 앞뒤 두문장은 차이점을 나타냅니다. 앞문장을 통하여 뒷문장의 의미가 무조건 반대라면 답은 1개일 것입니다. 하지만 차이라면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출제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차이점을 이용하여 문제를 출제하지 않습니다.
"제니는 아침에 일찍 일어났다. 하지만 준민은 아침에 늦게 일어났다."와 "사과는 맛있다. 하지만 사과는 비싸다."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역접접속사가 활용된 문장입니다. 앞 문장에서 일찍 일어났다와 늦게 일어났다는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뒤 문장의 맛있다와 비싸다는 반대의 의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 두경우를 문제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 출제자의 입장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경우에는 아침과 일어났다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 경우에는 사과라는 공통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 출제자는 이점을 활용합니다. 공통점은 같다는 의미를 기반으로 합니다. 같다는 것은 두 가지 서로 다른 대상의 동일한 특성을 활용한 것입니다. 이 특성을 활용하면 1개의 답을 요구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역접접속사는 두 문장의 차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관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두 문장사이에서 공통점이 먼저 존재해야 합니다. 이점이 선행되어야 논리적은 글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이제 이점을 활용하여 수능영어지문을 다시 읽고 보도록 권해드립니다.
댓글